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암환자들이 고혈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암환자는 '고혈압'을 어떻게 관리 암 치료 과정에서 고혈압은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암환자들이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건강한 생활을 위한 팁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함께 이 길을 걸어가요!
암환자가 고혈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고혈압을 일으키는 요인
암환자의 혈압 상승을 일으키는 요인은 통증, 스트레스, 체중 증가 그리고 약물 등이 있습니다. 또한 혈압 상승에 영향을 주는 약물은 항암제, 면역억제제,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그리고 조혈호르몬제 등이 있습니다.
2. 암 수술 후 고혈압 관리
암 수술 후에는 특히 체중 감소로 인한 혈압저하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수술 후에 고혈압약을 수술 전과 같은 용량으로 복용하게 되면 저혈압 발생의 위험이 높습니다. 암 수술 후 전해질 불균형, 콩팥 기능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혈압약 선택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암 수술 전에 비해 암 수술 후 체중 감소가 명확한 경우에는 퇴원 시 고혈압약 조정이 필요하고, 퇴원 후에는 연고지 일차의료 기관 진료 후 환자 상태에 따른 고혈압약 조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3. 항암제에 의한 고혈압 관리
항암제에 의한 고혈압은 항암제 투여 후 대개 첫 수주 이내에 발생하지만 항암제 투여 후 24시간 이내부터 1년 이내까지 다양한 시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암제 첫 투여 후 매주 혈압모니터링 (병원혈압 및 가정혈압 측정)이 필요합니다. 항암 치료 중 매 2-3주마다 혈압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혈압 평가를 위해서 통증 조절,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고 혈압상승약제 (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조혈호르몬제 등)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고혈압약으로 충분히 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160/100 mmHg 이상 지속되면 혈압조절을 위해 일시적인 항암제 중단을 고려하게 될 수 있습니다. 항암제에 의한 고혈압 조절이 쉽지 않은 경우에는 순환기내과 전문의 또는 고혈압 전문가의 진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암생존자의 심혈관 건강 관리 5단계 (ABCDEs)
- A (Awareness, Assessment, Aspirin): 심장질환의 증상 및 위험에 대해 인식하기, 심혈관질환 및 심혈관 위험 평가하기, 적절한 아스피린의 사용: 위험-이득 평가하기
- B (Blood pressure): 혈압 측정 및 관리
- C (Cholesterol, Cigarette): 콜레스테롤 측정 및 관리, 금연하기
- D (Diet, Dose, DM): 식생활과 체중조절, 항암제 안트라사이클린 사용 누적 용량 및 심장 부위 방사선 조사 용량, 당뇨 예방 및 치료
- E (Exercise, Echocardiogram / EKG): 운동, 개인 위험도에 따른 심장초음파/심전도 검사
항암제와 고혈압의 상관성
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때때로 부작용으로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암제는 종종 신체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심장과 혈관 시스템에도 해당됩니다.
항암제는 신체의 혈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항암제는 신장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고혈압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항암제는 혈관을 수축시키거나 확장시키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혈압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항암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혈압을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고혈압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¹. 이는 암 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항암제에 의한 고혈압과 관련된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항암제와 고혈압의 상관관계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¹. 이 정보는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상의 내용은 전문적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야 합니다. 이 정보는 암환자가 고혈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서는 이러한 정보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가 진단하거나 치료를 시작하거나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모든 건강 관련 결정은 반드시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의해야 합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른팔과 왼팔의 혈압이 다르면 위험한 이유 (0) | 2024.04.06 |
---|---|
혈압이 높으면 안되는 이유와 낮추는 방법 (0) | 2024.04.02 |
혈압 관리의 ABC: 기초부터 시작하기 (0) | 2024.04.01 |
마트에서 쉽게 살 수 있는 혈압에 좋은 음식 베스트 5 (0) | 2024.04.01 |
저혈압 , 저혈압원인, 저혈압증상, 혈압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2024.03.30 |
기립성 저혈압 증상과 수치 관리 위한 혈압에 좋은 음식 (2) | 2024.03.30 |
고혈압과 싸우는 식단: 무엇을 먹고 피해야 할까? (1) | 2024.03.29 |
혈압이 높을 때 좋은 음식들 무엇일까요? (1) | 2024.03.29 |